미 8군사령부, 서울 용산에서 평택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 완료
상태바
미 8군사령부, 서울 용산에서 평택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 완료
  • 자주시보 이창기 기자
  • 승인 2017.07.15 15: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1일 YTN 등 복수의 언론 보도에 따르면 주한미군의 주축인 미 8군사령부가 한반도 주둔 64년 만에 주둔지를 서울 용산에서 새로 건설한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는 작업을 마무리하고 11일 오전 새 청사 개관식을 진행했다.

▲ 11일 오전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에서 열린 미8군 사령부 신청사 개관식에서 워커 장군 동상 제막식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전쟁 당시 워커는 주일 미8군 사령관으로 부대와 함께 한국전에 참전, 인민군 매복에 걸려 사살되었다. 위키백과에는 교통사고로 죽었다고 소개되어 있다. ⓒ 자주시보

미 8군은 미 육군에서 유일하게 영구적으로 전진배치된 야전부대로, 육군 비중이 큰 주한미군의 주력 부대이다. 주한미군의 중-대대급 부대 이전은 2013년부터 진행됐으며 미 8군사령부는 지난 3월 선발대 이전을 시작으로 지난달 본대 이전을 모두 마무리한 것이다.

▲ 평택 미군기지 물놀이장, 인공파도까지 갖추고 있다. ⓒ 자주시보

평택 대추리 등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투쟁을 공권력으로 토지를 강제 수용하여 건설한 평택미군기지는 여의도 면적 5배나 된다. 부대 안에는 골프장, 야구장, 인공파도기능을 갖춘 물놀이장 등 초호화시실을 갖추고 있다.

▲ 평택 미군기지 ⓒ 자주시보

토마스 밴달 미 8군사령관은 개관식 환영사에서 총 107억 달러가 투입된 평택기지 건설 사업은 미 국방부 해외주둔 기지들 중 최대 규모로, 2020년 전체 기지가 완공되면 미-한 동맹은 물론 전투준비 태세도 더욱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한미군 평택기지는 인근에 오산 미 공군기지와 평택항 등 최적의 군사기지 입지조건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미 증원군이 전국 어디든 쉽게 진출하거나 빠질 수 있는 곳에 위치해 있다.

특히 전략적 유연성 차원의 신속기동군을 동북아시아 분쟁지역 어디든 신속히 투입할 수 있는 위치이며 군사대국으로 가고 있는 중국을 견제하는 최적의 입지이기도 하다.

이런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는데, 이 평택미군기지가 북의 300mm 대구경 정밀유도 조종방사포의 사거리 200km 안에 든다는 점이다.

▲ 북의 300미리 대구경 정밀유도 조종방사포 ⓒ자주시보

북의 대구경 방사포탄은 200km 거리의 목표물을 1미터 오차범위 안에서 정확히 타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그 시험사격 장면을 지난해 공개한 바 있다.

▲ 휴전선 북쪽에서 평택까지 거리는 110km밖에 안 된다. ⓒ 자주시보

미군은 패트리어트 요격미사일로 방어하겠다고 말을 하고 있지만 사실상 소나기처럼 쏟아지는 방사포탄을 막을 수 있는 방어체계는 아직 존재하지 않고 있다. 특히 방사포탄이 패트리어트 요격미사일보다 훨씬 더 가격이 저렴하여 물량경쟁도 미군을 앞선다.

최근 북이 한국의 1만개 목표 군사거점을 정밀타격할 수 있는 광학유도장치를 장착한 방사포탄을 충분히 준비하는 사업을 마쳤다는 정보를 중앙일보에서 입수하여 공개한 바 있다. 한국의 목표 중에서 주한미군기지는 북의 제1의 타격표적이 될 수 밖에 없다.

전쟁이 발발하면 평택미군기지는 방사포탄으로 흔적도 없이 사라지게 될 우려가 있다. 북의 300mm 방사포탄에는 소형 전술핵탄까지도 장착할 수 있다고 북이 발표한 바 있다. 전술핵탄이 아닌 집속탄만 장착하더라도 축구장 몇 개 면적이 단 한 발로 초토화된다.

미군이 용산에서 평택으로 기지를 옮긴 것도 북의 70km 사거리의 장사정포와 방사포의 사격권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북이 200km 사거리의 300mm 대구경 방사포를 개발함으로써 천문학적 비용을 들인 평택으로는 미군기지 이전 사업의 의미는 퇴색될 우려가 커졌다.

▲ 미군 기지 통폐합 ⓒ 자주시보

특히 미군은 전국에 산개되어 있는 91곳의 미군기지를 평택/오산 중부권과 대구/왜관/김천 남부권으로 통폐합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장사정포와 스커드 탄도미사일을 대량 보유하고 있는 북에게 집중 공격을 받을 경우 주한미군은 궤멸적 피해를 당할 우려가 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