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랑 칼럼] 병이정승(兵以靜勝)
상태바
[이정랑 칼럼] 병이정승(兵以靜勝)
  • 이정랑의 고금소통
  • 승인 2021.07.27 15: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요한 군대가 승리 한다

이정랑 중국고전 평론가
이정랑 중국고전 평론가

전국시대의 책으로 알려진 ‘울료자(尉繚子)’ ‘정권(政權)’을 보면 다음과 같은 의미심장한 구절이 나온다.

고요한 군대가 승리하고, 힘과 마음을 하나로 통일한 나라가 승리한다. 힘이 분산되면 약해지고, 마음에 의심이 생기면 배반한다.

이 계략의 요지는 고요한 군대가 적을 제압할 수 있다는 것이다. 『회남자』에서는 “군대가 냉정‧침착하면 견고해진다.”고 했다. 또 ‘초려경략( 草廬經略)’ ‘상정(尙靜)’에서는 “무릇 3군이란 시끄러우면 혼란에 빠지고, 고요하면 잘 다스려진다.”고 했다. 『병뢰』 「정 靜」에서는 이에 대해 비교적 상세한 설명을 하고 있다.

병(兵)이란 무(武)를 다루는 일이다. 따라서 고요함을 위주로 한다. 고요하면 형체가 없지만, 움직이면 형체가 드러난다. 호랑이나 표범이 움직이지 않으면 함정에 빠지지 않고, 사슴이나 고라니가 움직이지 않으면 덫에 걸리지 않고, 날아다니는 새가 움직이지 않으면 그물에 걸리지 않고, 물고기가 움직이지 않으면 새의 부리 따위에 쪼이지 않듯, 모든 움직이는 물체는 제압당하게 마련이다. 때문에 옛 성인들은 고요함을 중요하게 여겼다. 고요하면 서두르지 않는다. 그런 다음에 서두름에 응할 수 있다.

한 군대가 고요함으로 상대를 제압할 수 있는 까닭은 첫째, 고요하면 형체가 없어, 적이 나의 행적을 종잡을 수 없고, 따라서 나의 의도와 허실을 알 길이 없기 때문이다. 내가 어디를 막고 있는지 나의 어디가 약한지 모르기 때문에 어디로부터 나를 공격해야 할지 모른다. 또 내가 어디를 공격해 들어갈지 모르기 때문에 어디를 막아야 할지 모른다.

둘째, 고요하면 서두르지 않아, 자신의 약점을 쉽게 드러내지 않기에 적이 기회를 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장수기 냉정하고 꼼꼼히 문제를 살펴 판단을 내리고 ‘기계(奇計)’를 구사하면 ‘승산이 큰 싸움’을 벌일 수 있다. 군대가 훌륭한 방어 태세, 엄격한 규율과 질서를 유지하면 명령을 확실하게 집행하고 긴밀한 협동 체제를 세울 수 있다.

기원전 154년, 오(吳)‧초(楚) 등 7국이 서한(西漢) 정권에 반기를 들고 일어났다. 이른바 ‘오초 7국의 난’이다. 주아부(周亞夫)는 명령을 받고 반란군 정벌에 나서 창읍(昌邑-지금의 산동성 금향 서북)에 이르러 튼튼한 성을 거점으로 수비 태세에 들어갔다. 오‧초군은 양(梁)의 수양(睢陽)으로 진군했다. 양에서는 사신을 보내 주아부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한 경제(景帝)도 주아부에게 양을 구원하라고 했다.

그러나 주아부는 병력을 움직이지 않았다. 다만 날랜 기병 한 부대를 보내 오‧초의 식량 보급로를 차단했다. 오‧초군의 공격은 계속되었지만 상황은 좀처럼 진전이 없었다. 거기에다 식량이 떨어지자 오‧초는 결전을 서둘렀다. 그러나 주아부는 출전하지 않고 수비에만 치중했다. 오‧초군은 싸움도 제대로 해보지 못하고 굶주림에 시달려 사기가 급속도로 떨어지자 하는 수 없이 퇴각하기 시작했다. 이때를 놓칠세라 주아부는 정예병으로 오‧초군을 맹렬히 공격하여 대파했다.

317년, 봉기군의 수령 두증(杜曾)의 군대가 전국에 위세를 떨치고 있었다. 진(晉)의 원제(元帝)는 예장豫章) 태수 주방(周訪)을 파견하여 토벌케 했다. 당시 봉기군의 사기는 왕성하여 파죽지세였다. 싸움이 시작되자 주방은 몸소 중군을 이끌면서 군심을 안심시키고, 자신은 후방에서 사냥이나 하면서 여유를 보였다. 그는 이미 마음속으로 전투의 손익계산서를 다 세우고 있었고, 따라서 위기에 처해서도 전혀 흔들림이 없었던 것이다.

전투가 격렬해지자 주방은 정예병 8백을 뽑아 술과 음식을 마음껏 들게 한 다음, 절대 함부로 움직이지 말라고 명령했다. 봉기군의 수령 두증이 빠른 속도로 주방의 30보 앞까지 접근하자, 주방은 그제야 몸소 북을 울리며 병사를 격려해 나가 싸우도록 했다. 두증은 이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크게 당황했고 군사들도 혼비백산하고 말았다. 이 틈에 주방은 창을 휘두르며 맹공을 가해 두증을 무당(武當)으로 패주시켰다.

‘정(靜)’은 ‘동(動)’과 모순되는 양면이다. 그리고 절대적인 ‘정’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병이정승’이 강조하는 바는 정(고요함)으로 동을 제압하고, 정으로 이기는 것이다. 먼저 고요한 다음 움직이자는 것인데, 그 속에도 움직임이 있다. ‘정’은 결국 ‘동‘을 위한 것이다. ’동‘이 없다면 ’정‘은 그 의미를 잃고 만다. 전쟁의 최종 승부는 적과 나 사이에 벌어지는 일련의 세력 활동으로 결판난다.

주아부가 양의 구원요청과 황제의 명령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병력을 움직이지 않은 것은 총체적으로 보아 ’정‘이지만, 동시에 날랜 기병을 보내 식량 보급로를 차단한 것은 ’정‘ 가운데 ’동‘이 있음을 보 준 것이었다. ’정‘이 안고 있는 의미를 깊게 이해해야 ’병정이승‘의 모략을 펼칠 수 있다. 예를 들어 깊은 연못을 지나가거나 얇게 언 얼음 위를 지날 때 절대로 경거망동해서는 안 되듯, ’정‘을 보수적이고 소극적인 것으로 이해하여 마냥 기다리거나 관망만 하고 있다가 전기를 놓쳐서는 안 된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