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훈 칼럼] “일본 사죄 기대해선 안돼” ‘친일본색 박홍규’와 뒷배 윤석열
상태바
[박명훈 칼럼] “일본 사죄 기대해선 안돼” ‘친일본색 박홍규’와 뒷배 윤석열
  • 박명훈 주권연구소 연구원
  • 승인 2023.01.25 09:02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역대급 친일 망언‥‘지금껏 이런 자는 없었다’

“지금까지 대한민국 정부는 피해자의 입장을 위해서 일본에 강한 요청을 해왔다. 그러나 그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오늘 이 자리는 일본 측을 설득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한국의 피해자들을 설득하겠다는 국면전환의 장이라고 하는 것이 제 판단이다.

위는 지난 12일 국회에서 열린 ‘강제징용 해법 논의를 위한 공개토론회’에서 박홍규 고려대 교수가 잇달아 꺼낸 망언이다. 

[출처: 국회방송 갈무리]
[출처: 국회방송 갈무리]

“매국노!”
“무슨 말도 안 되는 소리야?”
“어떻게 이런 망국적인 토론회를 열 수가 있나!”
“피해자들에게 사과하라!”
“토론회 보는데 깜짝 놀랐다. 소시왜스(반사회적 인격장애)들 모인 토론회 같아서.”

박 교수의 망언에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 피해자들과 시민사회 인사들은 위처럼 분노하며 항의했다.

하지만 박 교수는 피해자들의 항의를 받으면서도 “일본은 성의 있는 호응을 하지 않고 있다. 이제 일본의 사죄와 기금 참여와 같은 것에 대해서는 기대를 가지셔서는 안 된다”라며 “역사는 도도하게 흘러간다. 그 과정 속에서 아픔과 충돌은 있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을 넘어서야만 한다”라고 망언을 멈추지 않았다.

이날 토론회는 외교부와 한일의원연맹 회장인 정진석 국힘당 비상대책위원장이 공동 주최했다. 박 교수를 앞세운 토론회는 마치 윤석열 정권이 박 교수의 ‘뒷배’가 된 듯한 모양새였다.

정부 측 인사들은 박 교수를 시작으로 토론회에서 일관되게 ‘제3자를 통한 변제’를 주장했다. 조선인 피해자들을 강제동원한 일본 전범기업 대신 한국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피해자들에게 배상금을 지급하겠다는 안이다.

반면 정부 측 인사들은 피해자 측이 촉구해온 일본 전범기업의 배상 참여, 일본 정부·기업의 사죄에 관한 이야기는 입도 뻥긋하지 않았다. 

외교부는 “일본이 이미 표명한 통절한 사죄와 반성을 성실히 유지·계승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피해자들의 마음에 대못을 박았다.

또 시민사회 인사들이 “사과하라”라고 거세게 항의하자 정진석 비대위원장은 묵묵부답으로 자리를 빠져나갔다. 

이런 외교부와 정진석 비대위원장의 모습에는 윤석열 정권의 속내가 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알고 보니‥‘친일본색’ 박홍규의 이유 있는 과거

“일본의 사죄를 기대하지 말라고? 치욕스럽다 정말.”(뾰**)
“저 정도면 한국말 하는 일본인.”(몽*****)
“이게 나라냐. 굴종외교 인간말종들의 공청회, 욕도 아깝다.”(청*)
“(박홍규 교수) 이력이 전형적인 잽머니(일본 자금) 장학생 느낌이네. 기분 탓이려나.”(p***********

토론회 이후 인터넷 게시판에서는 박 교수와 윤석열 정권의 친일 행보를 둘러싸고 후폭풍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누리꾼들의 지적대로 박 교수는 정말로 일본 극우세력을 위해온 ‘일본 장학생’일까? 사실관계를 하나하나 짚어보자.

먼저 공개된 이력을 살펴보면 박 교수는 ‘일본학술진흥회 외국인특별연구원’ 자격으로 일본 측의 지원을 받아 도쿄대에서 석·박사를 마친 일본 유학파다. 일본에서 유학을 마친 박 교수는 2004년부터 지금까지 고려대 정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물론, 일본 유학파라고 해서 무작정 ‘친일파’라고 단정해 비난할 수는 없다. 일본에 유학을 다녀온 뒤 일제의 식민침탈을 비판하고 피해자들과 한목소리를 내는 이들도 상당수 있기 때문이다. 박 교수의 문제는 피해자들을 공격하는 일본 극우세력의 논리를 직접·공개적으로 두둔해왔다는 점에 있다.

박 교수는 이런 친일 인식을 ‘친일 신문’으로 비판받아온 중앙일보 지면을 통해 연거푸 드러냈다.

지난해 4월 5일 박 교수는 윤석열 정권 출범을 앞두고 2022년 4월 5일 중앙일보 칼럼 「한·일 역사갈등, 책임론적 화해 넘어 포용론적 화해로」에서 “가해자 사죄와 피해자 용서라는 ‘책임론적 화해’는 수명이 다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피해자의 입장에서 가해자의 무한 책임(피해자가 원하는 만큼의 책임)을 집요하게 추궁하기보다는 가해자의 입장·견해·주장을 듣고 이해하며 그들의 상처와 아픔조차도 함께 치유해가는 포용적 관점으로 사고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라고 궤변을 늘어놨다.

일본 편을 든 위 주장은 가해자인 일본의 사과를 받으려 매달리지 말고 용서하자는 논리인데, 일제에 강제동원돼 고통받은 피해자들을 가르치려는 적반하장으로 보인다.

지난해 8월 2일 박 교수는 중앙일보 칼럼 「올 광복절에 일본 포용하는 역사 비전 제시하자」에서 ‘(일본과) 오랜 상호불신을 허무는 방법’ 두 가지를 주장했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하나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대한 일본의 입장에 기인한다. 당시 사안으로 취급되지 않았던 위안부 문제와는 달리 징용자 문제는 한국에 지불한 5억 달러로 종결되었고 게다가 이후 한국 정부가 두 번에 걸쳐 국내 보상을 했으니 더 필요하면 한국 스스로 보상을 하면 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2015년 위안부 합의의 파행을 겪은 일본이 징용자 문제 해결을 위한 어떠한 합의도 위안부 합의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우려하기 때문이다. 이번에 설령 사죄 표명과 기금 참여를 한다고 해도 한국 측이 또다시 판을 깨지 않는다는 보증을 얻을 수 없을 것으로 본다. 그렇다면 상호 보증의 협약이라도 하면 어떨까. 이 또한 한갓 어음 쪼가리에 불과할 것이다. 상호 불신의 뿌리가 존재하는 한 어떤 합의도 꽃을 피우지 못하는 법이다.”

위 문장의 표현, 내용 하나하나 다 문제이지만 특히 심각한 건 “더 필요하면 한국 스스로 (피해자들에게) 보상을 하면 된다”라는 내용이다. 이런 박 교수의 주장은 일본 전범기업을 대신해 한국 측이 피해자들에게 돈을 주겠다는 윤석열 정권의 방향성과 일치한다. 박 교수의 위 칼럼이 먼저 나왔다는 점에서, 윤석열 정권의 대일 기조는 박 교수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또 박 교수는 위 칼럼에서 “일본의 식민 지배와는 별개로 우리의 도약에 일본의 도움이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일본에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자”라고도 했다. 이 또한 전형적인 친일파·식민지 근대화론자의 논리라는 지적이 나온다.

 

역풍·연대 부르는 박홍규의 입

박 교수의 논리를 앞세워 일본의 식민침탈 범죄를 흐리는 윤석열 정권의 행태는 양심 있는 일본 시민단체들의 반발도 부르고 있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지난 16일 일본 시민사회 진보 인사들은 일본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 정부는 피해자가 납득할 수 있는 해결안을 제시하라”라고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은 “강제노동의 사실과 (일본 전범기업의) 불법 행위 책임이 인정돼 (한국 대법원) 판결이 확정됐다”라며 “피고 기업이 사과도 하지 않고 보상금으로 1엔도 내지 않으면 해결이라고 부를 수 없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해결안에 납득하고 있지 않다”라며 “피해자의 생각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피해자가 납득할 수 있는 해결안을 제시하라”라고 일본 정부와 전범기업에 촉구했다.

성명에는 나카자와 게이 호세이대 교수를 비롯해 일본 시민사회 인사 94명이 동참했다.

‘친일본색 박홍규의 입’을 통해 사실상 일본 극우세력을 위하는 윤석열 정권의 행태가 한국과 일본 시민사회의 연대를 부르고 있는 모양새다.

 


주요기사